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4

이 물질, 허가 받으셨나요?? 제조등금지물질? 이름도 처음 듣는다면 꼭 확인하세요!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수많은 화학물질은 우리 삶을 편리하게 만들지만 동시에 근로자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요소이기도 합니다.특히 특정 물질은 노출만으로도 암, 생safety-lab.tistory.com"이 물질 그냥 써도 되는 걸까??"지난 글에서 우리는 '제조등금지물질', 제조나 사용이 원천적으로 금지된 물질에 대해 다뤘었습니다. 그렇다면 금지까지는 아니지만 정부의 사전 허가 없이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 되는 물질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허가대상물질은 「산업안전보건법」 제118조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의 허가 없이 제조·수입·사용이 전면 금지된 물질입니다.즉 '사용이 허용되긴 하지만 허가를 받아야 한다'가 아니라, 원칙적으로 금지된 상.. 2025. 4. 24.
제조등금지물질? 이름도 처음 듣는다면 꼭 확인하세요!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수많은 화학물질은 우리 삶을 편리하게 만들지만 동시에 근로자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요소이기도 합니다.특히 특정 물질은 노출만으로도 암, 생식기능 저하, 급성중독 등의 심각한 건강장해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국가 차원에서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이러한 이유로 산업안전보건법은 ‘제조등금지물질’이라는 강력한 규제 제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 제도는 고용노동부장관이 직업성 암 유발성, 유해성 평가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특정 물질에 대해 제조, 수입, 양도, 사용 등 모든 행위를 전면 금지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제조등금지물질은 단순한 관리 대상이 아닙니다.이 물질은 작업장 내 반입 자체가 불법이며 위반 시에는 형사처벌(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 2025. 4. 23.
MSDS가 없으면 과태료!? 이건 모르면 큰일 납니다 사업장, 연구실, 교육시설의 과학실처럼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공간에서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반드시 구비하고 있어야 합니다. MSDS는 단순한 안내문이 아니라 해당 물질의 유해성, 응급조치, 보호구 착용 기준 등 안전관리에 필수적인 정보가 포함된 법적 문서입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이를 단순 참고자료로 오해하거나 비치 의무를 무시하는 경우가 적지 않으며, 특히 고압가스류의 경우 MSDS 비치 의무가 있다는 사실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더불어 ‘소량만 쓰니까 괜찮겠지’라는 인식도 여전히 만연해 있어 사고 발생 시 심각한 책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MSDS를 작성하지 않거나 제공하지 않으면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1종당 최대 5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단순히 책장에 꽂아두는.. 2025. 4. 23.
헬레니즘의 유산이 된 숫자들|화학 명명법의 기초 그리스어 우리가 당연하게 쓰고 있는 숫자와 기호들!1은 하나, 2는 둘, π는 3.14, μ는 아주 작다… 그런데 이 숫자와 기호들 왜 이런 모양이고, 왜 이런 이름인지 알고계셨나요?사실 알고 보면 이 기호들 하나하나에는 역사와 구조, 뜻과 원리가 담겨 있습니다.특히 α(알파), β(베타), μ(뮤), π(파이)처럼 익숙한 기호들은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문자들로 지금도 화학, 물리, 의학, IT, 공학 분야에서 핵심 언어처럼 쓰이고 있죠.이러한 기호들에는 언어적 논리, 수학적 원리, 역사적 유산이 깃들어 있으며 왜 그렇게 쓰이게 되었는지,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그리고 실생활과 학문에서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함께 살펴보면 과학을 이해하는 눈이 훨씬 깊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리스 숫자 접두어의 구조.. 2025. 4. 21.
우리 연구실 가스|어디에 보관하고 있나요? 연구실은 실험과 연구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다양한 화학약품과 장비, 그리고 각종 가스를 사용하는 복합적인 환경입니다.그 중 고압가스는 실험장비의 운전, 반응 촉진, 불활성 분위기 조성, 분석장비 운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연구실 운영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하지만 이러한 고압가스는 성질에 따라 사고 발생 시 화재, 폭발, 중독 등 중대재해로 이어질 수 있는 잠재적 위험요소이기도 합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고압가스의 종류나 특성, 저장기준 등을 정확히 알지 못한 채 막연한 경험에 의존하여 보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과 KGS-FU111을 중심으로 가연성가스를 어떻게 안전하게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다뤄보고자 합니다. .. 2025. 4. 18.
사고는 주의가 아닌 구조에서부터, 화학약품 취급공간의 맹점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많은 기업과 기관들이 안전에 대한 관심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화학약품을 사용하는 사업장과 연구실에서는 여전히 다양한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전문인력 부족과 안전전담 인력의 부재로 인해 관리 사각지대가 발생하기 쉬운 초·중·고등학교 과학실과 같은 교육시설은 법적 기준 미이행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우려를 자아냅니다.그렇다면 화학약품을 취급하는 공간에서 반드시 갖추어야 할 ‘안전한 구조’란 무엇일까요?이번 글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 화학물질관리법, 위험물안전관리법 등에서 정하고 있는 구조적 기준의 본질과 의미, 그리고 실제 현장 적용 실태와 개선 방향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구조적 안전이 중요한 이유화학약품을 사용하는 장소에서는 누출, 화재, 폭발.. 2025. 4.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