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4

우리 집 대순이가 위험하다고요? 유해성(Hazard)과 위험성(Risk) 완벽 이해하기 안녕하세요~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의 선두주자시그마 R&D 랩짱이입니다~~ 우리는 "유해하다"와 "위험하다"라는 말을 한 번쯤은 들어왔었습니다.But, 누군가가 물어봤을 때 명확하게 이거다!라고 설명하기엔 어려웠을 거라 생각됩니다.이해를 돕기 위해 저의 에피소드를 하나 들려드리려 합니다.이 에피소드에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전부 들어있으니 이 글을 꼼꼼히 읽으신 분들이라면 앞으로 어디 가서도 명확하게 설명하실 수 있습니다!!에피소드에 들어가기에 앞서 사진을 하나 보고 가겠습니다~저희 집 공주 "대순이"(또는 돼순이)천연기념물 540호, 대한민국의 4번째 토종견종인 "동경이"입니다^_^😄동네 산책을 다닐 때면 감사하게도 귀엽게 봐주시는 분들도 있고 무섭다면서 가까이 안 오시는 분들도 있었습니다.제가 바라.. 2024. 10. 25.
일상점검이 귀찮으신가요? 연구실 안전과 법적 보호를 위한 꿀팁 안녕하세요~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의 선두주자시그마 R&D 랩짱이입니다~~ 연구실(또는 랩)에서 근무했거나 근무 중인 연구활동종사자분들이라면 한 번씩은 들어봤을 "일상점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도대체 일상점검이 무엇이냐! 뭔데 자꾸 나를 귀찮게 하느냐!일상점검이란 "연구활동에 사용되는 기계ㆍ기구ㆍ전기ㆍ약품ㆍ병원체 등의 보관상태 및 보호장비의 관리실태 등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점검으로서 연구활동 시작 전에 매일 1회 실시. 다만, 제3항에 따른 저위험연구실의 경우에는 매주 1회 이상 실시해야 한다"라고 아래의 2가지 조항에서 정의하고 있습니다. 1.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0조(안전점검의 실시 등)제1항제1호2.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제2024-40호, 연구실 안전점검 및 정.. 2024. 10. 22.
2024 화성 일차전지 공장 폭발사고 분석|7가지 핵심 시사점과 대책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안전사고에 안타까움을 느끼며, 이와 같은 사고에 대하여 재발방지에 모든 힘을 기울여 다시는 가슴 아픈 일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사상자 다수가 외국인인 이 사고는 위험한 작업환경에서 불충분한 안전대책에 피해를 입은 사례로 사업장의 안전 보건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주의 의무를 소홀히 하여 사고가 발생했다는 정황이 확인될 경우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래 사상자 규모가 가장 큰 산업재해로 평가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https://www.lawtimes.co.kr/news/199514) 사고가 발생하기 전 이상징후는 아래와 같습니다.1. 사고 이틀 전(06.22) 배터리 제조 공정에서 소규모 화재 발생(자체 진화 및 별도 신 고 미접수) : 작업자가 배터리에 전해액을 주.. 2024. 10. 21.
고구마에 막힌 목 뚫어 드립니다 안녕하세요~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의 선두주자시그마 R&D 랩짱이입니다~~ 알면 알수록 어려운 "안전보건(Safety & Health)" 분야! 우리 모두가 돈을 벌기 위한 일을 할 때작업현장에서 발생한 사고를 적절히 보상하거나,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사업장에서는 "안전관리자" 및 "보건관리자",연구실에서는 "연구실 안전환경관리자"의 직무를 수행하는전문인력으로 하여금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규모에 따라 선임기준이 달라질 수 있음) 이러한 전문인력이 배치되어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어도아래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현재까지 사고발생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습니다법안도 강화되고, 전문인력도 늘어나는데 왜 이러는 것일까요? 제 생각은 인간관계에 있어 기본이 의사소통인 것과 같이안전의 기본도 .. 2024. 10.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