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의 '안전', 이제는 문화로 자리잡을 때입니다.
실험실 안에서의 연구는 세상을 바꾸는 지식의 출발점이지만 그 이면에는 항상 '위험'이 함께 존재합니다.
매년 반복되는 실험사고와 미비한 안전 인식은 여전히 많은 연구실의 취약한 현실을 드러냅니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는 연구실 안전문화 확산과 유해위험요소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위해 「2025년 연구실 안전 콘텐츠 및 우수사례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이번 공모전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콘텐츠 부문과 실제 현장의 안전관리 우수사례를 공유하는 전문가 부문으로 나뉘며 창의적 아이디어와 실질적인 개선사례를 발굴해 널리 알리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실에서 혹은 교육현장에서 ‘안전’이라는 단어가 ‘관리’가 아닌 ‘문화’로 자리잡기를 바라는 모든 이들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1. 공모전 개요
연구실의 안전은 단순한 규정 준수를 넘어 연구자가 믿고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핵심 요소입니다.
이를 위한 다양한 노력 중 하나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는 매년 연구실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공모전을 개최해오고 있습니다.
2025년에도 어김없이 보다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아이디어를 모으기 위한 「연구실 안전 콘텐츠 및 우수사례 공모전」이 진행됩니다.
이번 공모전은 국민 누구나 참여 가능한 콘텐츠 분야와 현장의 전문성을 반영한 위험분석 우수사례 분야로 구성되어 있어 학생, 교직원, 연구자, 실무자, 연구실 안전에 관심이 있는 사람 등 다양한 주체가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 공모전 명칭: 2025년 연구실 안전 콘텐츠 및 우수사례 공모전
- 주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주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
- 공모기간: 2025년 4월 21일(월) ~ 7월 21일(월) 18:00까지
- 접수방법: 국가연구안전정보시스템 온라인 접수 (작품별 개별 접수)
본 공모전은 안전의식을 높이는 콘텐츠는 물론 실제 현장의 안전관리 우수사례를 함께 조명함으로써 ‘사고 예방’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안전문화의 실천 모델을 만들고자 기획되었습니다.
2. 공모 분야 및 주제
이번 공모전은 콘텐츠 부문과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우수사례 부문, 총 2가지 분야로 나누어 모집이 진행됩니다.
참여자격은 각 부문별로 상이하니 아래 내용을 반드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공 모 분 야 | 공 모 주 제 | 응 모 자 격 | |
콘텐츠 | 이미지 | 1. 연구실 안전 의식 제고 2. 과학기술분야* 연구실의 사고 예방 3. 연구실 유해인자별 안전관리(화학물질, 방사선, 배터리 등) 4. 연구실 안전 20년(연구실안전법 제정 20주년) | 전 국민 누구나 (개인 또는 5인 이내 팀) |
영상 | |||
캐치프레이즈 | |||
연구 안전 캐릭터 | 연구실 안전을 상징할 수 있는 마스코트로서 다양한 콘텐츠에 활용할 수 있는 캐릭터 | ||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 연구실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보고서 작성 우수사례 |
3. 접수 기간 및 방법
공모전에 참여하려면 지정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작품별로 개별 접수해야 하며 마감시간 이후에는 접수가 불가하니 유의바랍니다.
1) 접수 기간
2025년 04월 21일(월) ~ 07월 21일(월) 18:00까지
2) 접수 방법
- 국가연구안전정보시스템(www.labs.go.kr) 접속
- 공지사항 또는 배너를 통해 공모전 신청 페이지 이동
- 응모신청서 작성 및 작품 파일 업로드
- 작품이 2개 이상일 경우 반드시 각각 별도로 접수
3) 유의사항
- 접수는 작품별로 1건씩 별도 제출해야 합니다.
- 공동작품의 경우 최대 5인까지 팀 구성 가능(우수사례 부문은 인원제한 없음).
- AI 활용 콘텐츠도 출품 가능하지만 저작권 문제가 발생할 경우 수상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 원본파일 제출은 수상작에 한해 별도로 요청될 수 있습니다.
4. 작품 형식 및 규격
작품 제출 시에는 분야별 요구 형식을 반드시 준수해야 하며 형식이 맞지 않으면 심사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아래 내용을 꼼꼼히 확인한 뒤 작업을 시작해 주세요.
유형 | 형식 및 규격 | 비고 |
이미지 (포스터, 카드뉴스, 컷툰, 캐릭터 등) | - A2(420×594mm), 해상도 300dpi 이상 - 파일형식: JPG, JPEG, PNG (100MB 이하) - 포스터 : 4절지(394*545mm) - 카드뉴스/컷툰: 1,080×1,080px, 4컷 이상 | - 가로·세로형 제한 없음 - 제작방법 제한 없음 - 포스터 손그림은 스캔 또는 촬영 후 제출 - 제출 파일이 다수인 경우 zip 압축 후 제출 - 카드뉴스/컷툰은 압축하여 zip 파일로 제출 |
영상 | - 자유형식 (애니메이션, 광고, Vlog, 쇼츠 등) - 길이: 30초 이상 3분 이내 - 해상도: 1920×1080px - 파일형식: AVI, MP4 (500MB 이하) | - 가로·세로형 제한 없음 |
캐치프레이즈 | - 20자 이내의 간결한 문구 - 한글, 영문, 특수문자 사용 가능 | - 주제 메시지를 함축적으로 담을 것 |
캐릭터 | - 캐릭터 이미지와 함께 창작 의도 등 설명 포함 | - 제출 파일이 다수인 경우 zip 압축 후 제출 - 가로·세로형 제한 없음 |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 - 연구실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실시에 관한 지침 (과기정통부 고시 제2021-109호)을 준수한 보고서 | - [붙임2] 양식 제출 - 파일명 : (부문) 성명.hwp - 제출매수 제한 없음 |
5. 심사 기준 및 절차
이번 공모전은 3~4단계의 심사를 거쳐 수상작을 선정합니다.
작품의 독창성과 활용 가능성, 주제 적합성을 고루 평가하며 온라인 검증 절차도 함께 이루어집니다.
1) 심사 절차

2) 심사 방법
- 1차심사(내부심사) : 기존 작품과의 유사성, 주제의 적합성, 작품규격 준수 여부 등을 고려하여 적합 또는 부적합으로 평가
- 2차심사(외부심사) : 분야별 외부 심사위원이 심사기준에 따라 심사 후, 평균점수를 산출하여 순위 결정
- 온라인 검증 : 수상 예정작을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표절, 명의 도용 등 부정행위 여부 검증(신고 접수), 문제가 없는 경우 최종 수상작으로 확정
- 3차심사(유사작 신고 시) : 온라인 검증 과정에서 이의가 제기된 작품에 한하여 추가 서면심사 실시 및 심사위원 과반수가 부정행위(표절 등)로 판정 시 수상작에서 제외
3) 분야별 심사 기준

6. 결과 발표 및 시상 내용
- 결과 발표 : 2025년 10월 (국가연구안전정보시스템 공지 및 개별 통보)
- 시상식 : 2025년 11월, 연구실 안전주간 기념식 중 진행 예정
- 시상규모 : 과기정통부장관상 9점(각 200만원), 안전관리본부장상 20점(각 50~100만원) 총 29점 시상(총 상금 3,450만원)

7. 유의사항 및 문의처
공모전에 참여하기 전, 아래 유의사항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형식 오류, 저작권 위반, 표절 등은 수상 취소 및 상금 환수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 1인(팀) 1작품만 수상 가능
(여러 작품 응모는 가능하나, 중복 수상은 불가) - 팀 참여 시 최대 5인까지 가능
(단,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부문은 인원 제한 없음) - 작품 내 홍보성 문구 또는 응모자 정보 삽입 금지
(이름, 소속, 기관 로고 등 표기 시 실격 가능) - 저작권, 초상권, 상표권 등 침해 금지
- 폰트, 이미지, 음악 등 모든 요소는 반드시 라이선스를 확인
- 저작권 침해가 확인되면 수상 이후라도 수상 취소 및 상금 환수
- AI 활용 콘텐츠는 출품 가능하나, 저작권 이슈 발생 시 수상 취소
- AI 도구 사용 시 해당 여부를 명시해야 함
- 심사결과에 따라 수상작 수는 조정될 수 있음
- 입상하지 않은 작품은 공모전 종료 후 3개월 이내 폐기됨
(단, 반환 요청 시 응모자가 비용 부담하여 반환 가능)
부 문 | 담 당 자 | 연락처 / 이메일 |
콘텐츠 부문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 | ☎ 043-240-6425 ✉ lucky13542@kribb.re.kr |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부문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 | ☎ 043-240-6417 ✉ wch1211@kribb.re.kr |
연구실에서의 안전은 소수 전문가의 몫이 아닙니다.
작은 아이디어 하나가
수많은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현장의 경험 하나가
더 나은 제도를 만드는 밑거름이 될 수 있습니다.
2025년 연구실 안전 콘텐츠 및 우수사례 공모전은
누구나 자신의 방식으로 ‘안전’이라는 가치를 표현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실험실에서의 고민이 있다면 캐치프레이즈로,
시각적인 감각이 있다면 포스터나 캐릭터로,
실질적인 현장 개선 경험이 있다면 보고서로,
지금 바로 도전해 보세요.
[[ 총상금 3,450만 원 ]]
전국에 공유될 여러분의 안전 메시지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연구실 안전을 바꾸는 첫걸음,
지금 바로 참여하세요!!!
'Issue che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실안전관리사란? 2025년 자격시험과 진로까지 한눈에 알아보기 (0) | 2025.04.28 |
---|---|
연구실안전법 개정사항 한눈에 보기 (4) | 2025.02.10 |
2025년 화학물질관리법의 개정 이슈: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검사 면제기준 등 신설! (50) | 2025.01.15 |